조선전기朝鮮前期의 역사인식歷史認識 1. 시작 2. 조선전기의 역사인식 3. 관찬사서의 편찬 4. 사찬사서의 편찬 5. 고려사•고려사절요 6. 마무리 1. 시작 조선시대에는 고려말기 이래의 성리학적 역사서술의 전통을 한층 높은 수준으로 발전시키면서 근대 역사학의 싹을 키워가고 있었다. 조선시대의 편사정신(編史精神)은 성리학을 근본으로 하여 그 응용학으로서 과거의 역사를 정리하고, 이를 거울로 하여 정치적 교훈을 얻고자 하는데 일차적 목적을 두었다. 성리학은 윤리•도덕 질서의 확립을 무엇보다 중요시하면서도 합리적인 우주관과 민본적 정치관 등을 담고 있어서 이에 기초를 둔 역사서술과 역사인식은 상대적인 진보성과 과학성을 띠지 않을 수 없었다. 그리고 조선 전기에는 많은 사서가 편찬되었다. ․․․․․ 등 관찬사..